국내에서 열리는 3대 마라톤 대회는 동아마라톤과 춘천마라톤, 중앙마라톤 대회다 각 대회마다 봄과 가을에 열리는 대회라 마라토너라면 꼭 한 번은 출전하고 싶어 하는 대회들이다.
동아서울국제마라톤
동아마라톤은 1931년 3월2일 제1회 경성~ 영등포 마라톤대회를 모태로 한 동아마라톤은 2023년 현제 93년이란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대회이다 일제강정기 시대에 마라톤으로 민족의 혼을 일깨우고자 창설된 동아마라톤은 시작부터 한국 마라톤의 역사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한국 최고기록 중에서 10번 이 대회에서 기록 갱신이 되었고 손기정 황영조 이봉주 스타 선수들이 한국 마라톤의 발자취를 남겼다 첫 대회는 서울과 영등포을 왕복하는 23.2km 구간으로 동아마라톤이 시작되었고 동아일보는 역사적인 첫 제1회 대회를 마라톤경주대회로 대대적으로 홍보하였다고 합니다 1964년 제35회 대회부터는 42.195km의 거리로 대회가 열렸고 동아일보 창간 70주년 때는 국제경기대회로 격상하였고 해마다 3월에 대회가 열립니다 1996년 대회부터는 백혈병 어린이를 돕는 1m 1원을 기부하는 운동으로 시작한 대회가 지금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으며 소년소녀 가장들에게 장학금 마련을 위한 사랑의 레이스는 달리는 사람들에게도 달리면서 뿌듯함을 느끼는 대회로 발전하였다 2004년도에는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서울국제마라톤대회 명칭이 추가되어 동아마라톤 서울국제마라톤 대회명으로 이어 가고 있다 2023년 대회는 43개국 3만 2천여 명이 참석한 대회로 세계육상 연맹으로부터 최고등급 대회로 세계육상 문화유산으로 선정된 국제대회로 발전하였습니다
조선일보 춘천마라톤
제1회 조선일보 단축마라톤대회는 1964년 10월 27일 시작되었다 1936년 손기정 선수가 베를린 올림픽대회에서 마라톤을 제패한 지 꼭 10년 뒤에 열린 의미 있는 대회다 춘천마라톤 연혁을 보자면 1947년 손기정 세계제패기념 조선일보 마라톤대회로 격상되었고 1991년에 춘천으로 코스를 이전하였으며 1995년 조선일보 춘천 국제마라톤으로 다시 격상 후 1997년에 일반인도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1991년 출전한 김완기 선수가 2시간 11분대의 한국 기록을 달성하면서 한국 마라톤은 바르셀로나올림픽과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2시간 8분 9초의 국내 신기록을 새웠다 1999년도부터 아마추어선수들도 1만 3000명 참가하는 큰 대회로 성장했다 춘천 마라톤대회는 2011년에 국제육상경기연맹에 의해 골드라벨로 승격이 되어 더욱 발전하여 매년 10월 아름다운 단풍의 절경을 볼 수 있는 대회로 외국인 참가 선수 및 아마추어 분들이 참여하고 싶어 하는 대회로 발전하였다 ,
중앙서울마라톤
1999년 언로사 중앙일보사가 주최하는 대회로 처음 시작은 하프마라톤대회로 시작하였다 1988년 서울올림픽 마라톤 기념을 계승하는 대회이고 1999년 10km, 5km 단축 코스를 신설하여 가족 및 회사단체들이 많이 참석하여 도시를 대표하는 시시민 마라톤 축제로 발전하는데 2002년에는 5km 종목을 폐지하고 풀코스를 신설하여 국제공인 코스에 8개국 20여 명의 해해외 선수들이 참여하였고 이 대회는 케냐의 무바락 후세인이 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때 풀코스 하프코스 10km 종목에 2만 1000여 명이 일반참가자로 참여하였고 2003년에 하프코스를 폐지하였다 코스는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출발하여 성남시를 돌아 잠실종합운동장으로 돌아오는 순화코스로 국제공이코스로 지정이 되었다 풀코스와 10km 코스만 열리며 풀코스는 09시에 출발하고 10km는 09시 15분에 출발하는 대회다 일반참가자 부문 풀코스의 참가비는 4만 원이며 풀코스 참가인원은 1만 1000명 제한 시간은 5시간이다 참가 자격은 만 18세 이상 신체 건강한 남녀이고 10km는 참가 인원 1만 1000명 참가비는 4만 원이며 제한 시간은 1시간 20으로 참가 자격은 6세 이상 신체 건강한 남녀이다 엘리트 부문은 풀코스 대회만 있다 남자부문은 국제대회로 여자부문은 국내대회로 치른다
댓글